728x90
반응형

K패스 신청과 알뜰교통카드 k패스 전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k패스 교통카드는 기존 알뜰교통카드보다 혜택이 더 풍부하다고 합니다. 오늘은 기존 알뜰교통카드 k패스 전환 방법 및 k패스 신청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 분들 혹은 k패스 교통카드 신규신청자 분들이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k패스 사용법

 

k패스

국토교통부에서는 5월부터 k패스 교통카드 정책을 시행중입니다. 아래에서 k패스 교통카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K패스 교통카드

k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정기적으로 이용하면, 지출금액의 일정비율을 돌려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

k패스 교통카드는 일반인은 20퍼센트, 청년층은 30퍼센트, 저소득층은 53퍼센트의 일정비율로 다음달에 돌려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알뜰교통카드보다 더 많은 혜택인 점이 장점입니다. 또한 간단한 회원절차만 걸쳐도 추가혜택을 받는점에서 편의성도 알뜰교통카드보다 확대되었습니다.

 

k패스

 

K패스 신청

 

k패스를 신규신청하기위해서는 k패스 교통카드를 별도로 발급받으셔야 합니다. 이후 k패스 어플에 카드 등록하셔서 이용하시면 됩니다.

k패스 교통카드사는 총 10개사중 한곳에서 발급받으시면 됩니다.

k패스 교통카드사 10곳은 아래와 같습니다.

 

➡국민카드, 농협카드, 삼성카드, 신한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 현대카드, DGB유페이, BC카드(BC바로카드, 광주은행, IBK기업은행, 케이뱅크), 이동의 즐거움(카카오페이 모바일교통카드)

 

알뜰교통카드 k패스 전환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고 있던 사용자들을 위해 K패스 교통카드의 회원 전환 절차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아래 자세한 내용 참고하셔서 알뜰교통카드 사용자들은 K패스 교통카드로 전환해주시길 바랍니다.

 

알뜰교통카드 k패스 전환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분들은 4월 30일까지 k패스 전환 완료해주세요.

알뜰교통카드 k패스 전환이 완료되시면 k패스 어플에 접속해주셔야 합니다.

k패스 어플에 접속 후 자동로그인으로 하시면 진행 불가하여 기존 알뜰교통카드 계정으로 로그인해주셔야 합니다.

이후 평소처럼 기존 교통카드를 사용해주시면 됩니다.

 

k패스 카드사별 혜택
k패스 카드사별 혜택

 

 

참고로 위 사진은 k패스 신청시 카드사별 혜택입니다. 참고하셔서 개인들에게 맞는 k패스 교통카드 신청해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